통신사를 이동하면 최대 50만원 지원하는 저환지원금제도로 알뜰폰업체들은 가입자 이탈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올 5000원 미만인 저가 요금제가 늘었고 심지어 한달에 110원마 내는 상품마저 선보이고 있다고 하네요
알뜰폰 요금 인하 경쟁
110원 요금제’까지 등장… 가입자 유치에 사활 거는 알뜰폰 업계
아이즈모바일, 월 요금 ‘110원’ 최저가 상품 출시
월 요금 1000원 미만 요금제 13종 달해
알뜰폰 업체들이 통신사를 갈아타면 최대 50만원을 지원하는 전환지원금 제도와 정부의 지원 축소 영향으로 생존을 위해 가입자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네요
월 5000원 미만인 저가 요금제 출시가 대폭 늘었고, 일부 업체는 한 달에 110원만 내면 되는 상품까지 선보이고 있습니다.
9일 알뜰폰 비교 사이트 ‘알뜰폰허브’에 따르면 현재 월 이용료가 5000원 미만인 LTE(4세대 이동통신) 저가 요금제는 130여종이 판매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달 50여종이 판매된 점을 고려할 때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알뜰폰 요금 인하 경쟁
알뜰폰 요금인하
아이즈모바일은 이달 들어 한 달에 110원을 내고 5개월간 LTE 데이터 3GB(기가바이트), 음성 100분, 문자 100건을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판매된 요금제 중 최저가 상품은 월 500원짜리 모빙 요금제였는데, 이보다 저렴한 상품이 나온 것입니다.
이달 알뜰폰 업체가 내놓은 요금제 중 가격 범위가 1000원 미만인 요금제는 13개에 달합니다.
전부 4~5개월 이용 후 월 요금이 4000~6000원으로 자동 변경되는 상품이지만, 정해진 약정 기간이 없어 언제든 통신사를 바꾸면 됩니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알뜰폰 업계가 일정 기간 요금을 전혀 받지 않는 ‘0원 요금제’로 가입자를 늘려왔으나, 통신 3사가 지급해 온 보조금이 삭감돼 같은 수준의 요금제를 낼 수는 없는 상태”라며 “알뜰폰 업계가 전환지원금으로 신규 가입자 유입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0원 요금제에 준하는 상품으로 신규 가입자를 최대한 많이 끌어오려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알뜰폰(MVNO)에서 이동통신사(MNO)로 넘어간 가입자 수는 5만1400명으로 올 2월(4만3663명) 대비 17.7% 늘었다고 합니다.
반면 올해 알뜰폰 업계의 번호이동 순증 규모는 1월 7만8060명, 2월 6만5245명, 3월 4만5371명으로 감소하고 있스비다.
업계는 통신사 간 번호 이동 시 위약금 지원이 제도화되자 알뜰폰에 비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MNO 상품을 택하는 이용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달 14일 전환지원금 제도 시행 후 통신 3사는 3~13만원 수준의 지원금을 책정했지만, 방송통신위원회의 요청으로 최대 전환지원금이 30만원대까지 높아졌다.
통신 3사도 중간요금제, 3만원대 5G(5세대 이동통신) 요금제 등 중저가 요금제를 꾸준히 출시하며 알뜰폰과의 가격 격차를 조금씩 좁혀나가고 있습니다. 전환지원금의 등장으로 더 많은 알뜰폰 이용자가 통신 3사로 넘어갈 것으로 보여 알뜰폰 업계가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