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카카오톡 공유
반응형
살아오면서 누구나 보험은 한개씩 가입하고 있겠지만 정작 그게 뭔지도 모르고 보험설계사의 권유로 보험을 많이 들곤 합니다.
오늘은 지식을 정보를 취득하는 의미에서 보험종류 중 종신보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보험의 종류 2가지 형태
● 보장성 : 연령조건에서 생존시 지급되는 보험금의 합계(원금)이 이미 납입한 보험료를 초과하지 않는 보험입다. 보험에서 정하는 보장의 내용 조건 등이 저축성보다는 좋습니다.
하지만 만기시 만기환급금은 내가 이때까지 총납입한 원금보다 적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만기까지 보장을 받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저축성 : 생존시 지급되는 보험금의 합계액이 이미 납입한 보험료 총액보다 초과하는 보험입니다.
만기환급시 내가 낸 원금 + 이자 라는 말입니다. 저축성은 이자를 주는 데신 보장성을 좀 떨어집니다.
종신보험이란
● 보험의 보장기간이 평생 즉 종신이며 사망보험의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 피보험자가 언제 어떤 경우에 사망하더라도 약정된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 자살은 예외입니다. 하지만 가입일로부터 2년이 지나면 자살도 사망보험금을 지급합니다.
종신보험의 오해
● 종신보험은 본인이 사망해야 함으로 유가족만 좋은 일 시키는 구나 ==> X
● 이렇게들 오해 하시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종신보험의 납입기간
● 납입기간 : 종신보험의 납입기간은 계약자가 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납입기간 지금부터 70세까지라고 정하면 70세 까지 납부하시면 됩니다. 70세가 되기전 사망하면 사망보험금이 나옵니다. 70세 까지 생존시 만기환급금을 수령하시면 됩니다.
● 유의사항 : 알리고지의 의무
보험계약시 계약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제대로 알릴의무가 있습니다. 만일 자신의 병력을 허위로 기재하거나 숨기거나 하면 보험해지 사유가 됩니다.
예시 : 고혈압, 당뇨, 수술 등 이전의 병력을 제대로 알려야 합니다.
보통 종신보험은 주계약 + 특약으로 구성됩니다.
주계약은 보험계약에서 기본이 되는 중심적인 보장내용을 말합니다.
특약은 상해·질병 등에 대한 보장을 말합니다.
특약은 가입희망자의 다양한 욕구와 보장을 충족하기 위하여 부가할 수 있는 약정입니다. 특약을 활용하면, 적은 보험료로 생존시에도 암, 성인병, 재해 등에 대한 다양한 보장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특약은 주계약에 부가하여 보장을 보완하거나 계약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부가적인 보험상품입니다. 즉 특약을 통해 여러개의 보험에 가입한 효과를 보는 것입니다.
예시 : 암보장특약, 성인병 특약, 치매간병특약, 재해사망특약, 휴일 재해보장특약, 입원특약, 수슬특약, 실손의료보험 특약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종신보험은 계약자의 다양한 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다양한 보장의 조합으로 설계가 가능합니다. 즉 어떤 보험설계사가 보험을 설계하는 냐에 따라 보장조건, 특약 조건 등을 달리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입자 편의성 도모 특약 : 추가보험료 없슴
다음 4가지는 가입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특약이며 추가 보험료가 없습니다.
1. 우량체 특약, 2. 선지급서비스 특약, 3. 연금전환 특약, 4. 장애인 전용보험 전환특약 등이 있습니다.
특징
종신보험의 보험료는 평생 불입하는 종신불, 일정한 기간까지 불입하는 유한불, 한번에 모든 금액을 다 불입하는 일시불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신보험에 대해서는 계약만료때까지 가입시점에 결정된 보험료를 납부하고 보험금을 보장받습니다.
종신보험을 가입했으나 사망할 때까지 기다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연금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노후생활에 자금이 필요할 경우, 해약하는 대신에 이 해약환급금을 연금지급의 형태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연금으로 전환했을 때에는 주보험과 특약의 보장이 종료됩니다.
전환 즉시 연금이 지급되며, 연금의 지급이 시작한 다음에는 해약이 불가능합니다.
다음은 저의 많은 독자님들이 함께한 글모음입니다.
여기까지 오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