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나무와레몬나무의 아이들 2024. 4. 18. 22:17
1
반응형

2024년 올해도 서울시는 안심소득 사업을 실시합니다

2024년 안심소득의 시범사업은 무엇인지 대상은 누구인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서울시는 1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안심소득’ 시범사업 3단계 약정식’을 개최하고 안심소득 실험에 참여할 492가구를 최종 선정했습니다.

안심소득은 기준소득에 못 미치는 가계소득의 일정분을 채워주는 소득보장 실험입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형 복지제도로 소득 양극화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가 목적입니다.

 

 

올해 시행되는 3단계 사업에서는 가족돌봄 청(소)년과 저소득 위기가구를 중심으로 선발했습니다.

 

가족돌봄 청(소)년은 128가구, 저소득 위기가구은 364가구다.

 

가구 규모별로는 1인 가구가 35.0%, 연령별로는 40∼64세가 4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선정된 가구는 오는 26일부터 내년 3월까지 1년간 기준중위소득 85% 기준액과 가구소득 간 차액의 50%를 지원받게 됩니다.

 

2024년 안심소득 시범사업 개요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 가족돌봄청(소)년 및 저소득위기가구 492가구
   - 가족돌봄청(소)년 128가구, 저소득 위기가구 364가구

 선정기준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재산 326백만원 이하 가구

 

 지원기간 : ’24. 4월 ~ ’25. 3월(1년) ※ 연구분석 : ’24 ~ ’26(3년)

 

 지원금액 : 기준 중위소득 85% 기준액과 실제 가구소득 간 차액의 절반

 

추진절차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제38대 서울특별시장 공약사업으로, 소득양극화ㆍ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서울을 준비하는 새로운 복지시스템을 마련하고자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안심소득”은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계소득의 일정 비율 채워줌으로써 소득이 적을수록더 많이 채워주는 새로운 소득보장제도입니다.

 

’22년 1단계 참여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484가구 선정, ’22.7월부터 지원 Ÿ ’23년 2단계 참여가구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1,100가구 선정, ’23.7월부터 지원 Ÿ ’24년 3단계 참여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492가구 선정, ’24.4월부터 지원

 

안심소득 참여가구는 ’25년 6월까지 최대 3년간 안심소득을 지원하며, 3,500여 가구의비교집단과 함께 2026년까지 사업의 효과를 심층 연구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저의 많은 독자님들이 함께한 글모음입니다.

 

 


 

여기까지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2024 안심소득 사업 선정기준

 

 

 

 

 

 

 

 

 

 

 

 

 

 

 

 

 

 

 

 

 

 

 

 

 

반응형
카카오톡 공유